강원도 양구가 수도권처럼 가까워졌다. 지난주 광화문에서 양구읍까지 2시간5분 걸렸다. 고개를 갸우뚱거리는 독자들도 있겠지만 길이 그만큼 편해졌다. 일단 서울~춘천 도로구간만 따지면 40분. 여기서 46번 국도를 타면 배후령이란 고개를 하나 넘게 된다. 배후령을 지나 양구로 이어지는 길은 지난해말 양구읍 앞까지 뚫린 터널 덕에 화천 파로호 자락을 구불구불 돌지 않고 직행할 수 있다. 춘천~양구 구간은 50분이다. 군 생활을 양구에서 했던 사람이라면 춘천 102보충대에서 자대 배치 받고 주먹밥까지 받아들고 소양강에서 배타고 들어가던 기억을 떠올릴지 모른다. 아니면 인제에서 구불구불 들어가던 양구를 떠올리는 사람들도 있겠다. 그땐 어느쪽이든 최소 5~6시간 걸렸다. 하지만 조금 일찍 서두르면 양구가 하룻길 여행지로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물놀이터다.
물놀이 하기에 딱 좋다.
강줄기와 만났다 헤어졌다 하게 된다. 이게 바로 수입천이다.
실제로 깊지 않았다. 발목에서 무릎 정도까지 찼다.
게 최고였다. 강줄기엔 수박 한덩이를 담가두고 솥을 걸고 국수를 끓여 먹었다. 환경오염 등을 이유로 웬만한 강줄기에서는 취사할 수 없지만 강변은 추억의 물놀이터임에는 틀림없다.
비포장이라 불편한 것이 단점이다. 민박집을 이용하는 사람만 파서탕을 이용할 수 있단다.
다이빙을 하는 곳이지만 어린 아이들이 놀기엔 위험한 편이었다.

물놀이를 나온 아이들이 가족과 함께 수입천 줄기에서 천렵을 하고 있다.
그럼 양구에선 무엇을 볼까. 강변에서 물놀이만 해도 좋다. 양구는 지금도 최전방이다. 과거엔 너무 멀었고
많은 부분이 민통선으로 묶여있던 까닭에 파헤쳐지거나 오염되지 않았다. 양구 수입천은 제법 놀기 좋은
물놀이터다.
수입천 물줄기를 쫓아가면 북한의 금강산 줄기라고 한다. 이 물줄기가 두타연을 돌고 나와 화천 파로호로 흘러드는 것이다. 방산면 신병교육대 부근까지는 상수원 보호구역. 그 너머부터는 보호구역에서 벗어난다. 수입천
물줄기는 약 35㎞ 정도 된다. 강줄기가 깊지 않고 자박자박 걸어들어갈 수 있는 낮은 곳이 많다.
물놀이 하기에 딱 좋다.
일단 방산면 오미리 방향으로 길을 잡는다. 양구읍에서 방산면 자기박물관을 지나 달리다보면 자그마한
강줄기와 만났다 헤어졌다 하게 된다. 이게 바로 수입천이다.
방산면 남전교 부근에선 물놀이를 나온 가족들이 줄낚시를 하는 모습이 보였다. 함께 갔던 오민수 양구군청
축제이벤트계장은 "수입천은 원래 양구시민들이 물놀이를 하던 곳"이라며 "장마끝이라 물도 깨끗해졌으며
앞으로 수량이 더 줄어 물놀이 하기엔 더 안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전교 앞 수입천은 맑았다.
실제로 깊지 않았다. 발목에서 무릎 정도까지 찼다.
사실 1970~80년대만해도 최고의 피서지는 강변이었다. 미루나무 밑에 자리를 깔고 앉아 강물에 멱감던
게 최고였다. 강줄기엔 수박 한덩이를 담가두고 솥을 걸고 국수를 끓여 먹었다. 환경오염 등을 이유로 웬만한 강줄기에서는 취사할 수 없지만 강변은 추억의 물놀이터임에는 틀림없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